국제 식품 박람회
2025년 하반기에도 세계 각지에서 국제 식품 박람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식품업계 바이어와 브랜드들에게는 글로벌 트렌드와 새로운 유통 기회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전 세계에서 열리는 주요 국제 식품 박람회

2025년 하반기에도 전 세계 다양한 도시에서 국제 식품 박람회가 활발히 열릴 예정입니다. 기능성 식품, 수산물, 가공식품, 푸드테크 등 테마가 세분화되고 있으며, 바이어와 제조사, 유통업체 간의 B2B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국제 식품 박람회

박람회명일정장소특징
WOFEX (필리핀 월드 식품 박람회)8월 6–9일마닐라 SMX동남아시아 최대 B2B 식품 전시회, 수출 타깃
HKTDC 홍콩 식품 박람회8월 14–18일홍콩 컨벤션센터일반 소비자 대상, 아시아 식품 트렌드 관측 가능
WorldFood 모스크바9월 16–19일러시아 크로커스 엑스포CIS 지역 유통 네트워크 구축 기회
Vitafoods Asia9월 17–19일방콕 QSNCC기능성 건강식품 중심, 원료 수출입 활발
HEALTH INGREDIENTS JAPAN10월 15–17일도쿄건강기능 식품 소재 전문 전시회
China Seafood Expo10월 29–31일칭다오수산·냉동가공식품 중심, 중국 진출 전략 핵심
부산국제식품박람회11월 20–23일부산 BEXCO국내외 바이어 유입 활발, K-식품 소개 적합

이외에도 리가(Riga Food), INFTEXPO, SIAL 계열 박람회가 연속적으로 개최되어, 국내 중소식품기업의 글로벌 진출 전략 수립에 적절한 시점입니다.


바이어와 식품업체가 주목해야 할 이유

최근 식품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시장 반응 테스트와 샘플 피드백, 현지 바이어와의 수출 계약 체결, 유통 채널 입점 상담 등의 실질적 성과를 내는 기회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 바이어 입장에서는 새로운 상품군 소싱, 로컬 시장 맞춤형 제품 확인이 가능하고
  • 제조사 입장에서는 샘플 제공, 반응 수집, 수출 사전 협의 등으로 실효성 높은 미팅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박람회는 B2B 미팅 매칭 플랫폼을 운영하여 사전 등록만 해도 현장에서의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일부 전시회는 스타트업 존, 푸드테크 존, 수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등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브랜드 초기 기업에게도 적합합니다.


국제 식품 박람회 준비 시 체크리스트

국제 식품 박람회에 처음 참가하거나, 출장을 계획 중인 바이어라면 아래 내용을 체크해보세요:

  • 출품 제품군 설정: 건강식품, 즉석식품, 음료, 냉동·냉장 등 분류 필요
  • 현지 시장 특성 파악: 국가별 소비 트렌드 및 식문화 고려
  • 통역, 홍보물 준비: 영문 브로슈어, 명함, 샘플 패키징 필요
  • 부스 예약 및 사전 등록: 일부 박람회는 조기마감되므로 선제적 대응 필요
  • 전시 후 팔로업 체계: 바이어 명단 관리 및 후속 미팅 체계화

또한, 현장 관람 시에는 트렌드 포인트를 분석하고, 성공사례 기업의 부스 운영 방식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en_US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