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간편식
2025년 상반기, 편의점 간편식은 더 이상 '임시 끼니'가 아닌 '선택하는 식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도시락, 전통 한식 구성, 건강식 라인업, SNS 마케팅을 통한 콘텐츠화까지. 하반기에는 AI 맞춤형 간편식까지 등장할 전망입니다.

하루 한 끼는 편의점에서? 더는 임시방편이 아니다

출근길 허겁지겁 집은 삼각김밥, 늦은 야근 후 집 앞 편의점에서 끼니를 때우던 시절을 기억하시나요?
예전에는 그저 ‘급할 때 먹는 음식’ 정도로 여겨졌던 편의점 간편식이, 이제는 하나의 확실한 ‘식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들어, 편의점 도시락은 단순한 식사 이상의 의미를 갖기 시작했습니다.
간편하면서도 제대로 된 한 끼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편의점 간편식도 그에 맞춰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전략, 편의점 간편식의 품격을 높이다

GS25

  • 소고기 미역국 도시락: 아침 한식 정식 콘셉트로 직장인과 자취생 모두에게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치즈폭탄 김치볶음밥: 치즈와 김치볶음밥, 소시지 큐브 조합으로 SNS에서 화제가 되며, 2025년 리뷰 점수 최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 불고기 정식 도시락: 달콤한 불고기와 다양한 반찬 구성으로 직장인들에게 특히 인기.
  • 통삼겹 바베큐 샌드위치: 고기 함량이 높아 고기 덕후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편의점 간편식

CU

  • 혜자로운 한판 도시락: 고기반찬, 계란말이, 나물, 밥 등 푸짐한 구성으로 2025년 가성비 도시락 1위에 선정.
  • 백종원 트리플 고기 정식 도시락: 백종원 시리즈의 대표 메뉴로, 합리적인 가격과 푸짐한 내용물로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오모리 라면밥 세트: 해장 및 야외 식사로 추천되는 메뉴.
  • 냉모밀 도시락: 여름철 간편식으로 인기가 높습니다.오모

세븐일레븐

  • 트리플 정식 도시락: 점심용으로 재구매율과 SNS 리뷰가 매우 높아 2025년 대표 인기 메뉴로 꼽힙니다.
  • 매콤 제육 정식 도시락: 저녁용으로 혼밥족과 가성비 소비자를 겨냥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매콤 치킨 도시락: 겉바속촉 치킨 구성으로 가심비와 맛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치킨마요 도시락: 마요네즈와 양념치킨의 조화로 꾸준히 사랑받는 베스트셀러.

이마트24

  • 돈까스&계란 도시락: 바삭한 돈까스와 계란프라이, 채소가 조화된 메뉴로 가성비 최고 도시락 3위에 올랐습니다.

실제로 5~6천 원대 가격임에도 “식당 퀄리티”라는 평을 듣는 도시락도 종종 보이죠.
이제는 ‘돈 아끼려고 먹는 음식’이 아니라, ‘선택해서 먹는 간편식’으로 이미지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편의점 간편식, 한식과 건강식으로 확장 중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바로 편의점 간편식의 한식화와 건강식 트렌드 강화입니다.
된장찌개, 제육볶음, 김치찜 같은 전통 한식 스타일 도시락이 늘어났고, 중장년층 소비자의 반응도 뜨겁습니다.

또한, 닭가슴살볼이나 샐러드, 곡물도시락처럼 고단백·저칼로리 제품도 인기입니다.
특히 운동을 하거나 식단 조절 중인 2030 세대를 겨냥한 ‘헬시푸드 라인업’은 전년 대비 약 30% 이상 성장했다고 하네요.

SNS 마케팅 + 굿즈 = MZ세대 겨냥한 콘텐츠형 간편식

편의점 간편식은 ‘콘텐츠’로도 진화 중입니다.
예를 들어, 뉴진스 떡볶이, 포켓몬 도시락, 지브리 패키지 등은 음식이 아닌 ‘캐릭터 상품’처럼 소비됩니다.
SNS에 인증하기 좋은 비주얼, 한정판이라는 희소성, 귀여운 패키지는 구매 욕구를 자극하죠.

실제로 ‘사서 사진만 찍고 안 먹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마케팅 전략도 디지털 세대를 정조준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간편식의 다음 키워드, ‘맞춤형’이 될까?

전문가들은 2025년 하반기에는 AI 기반의 ‘맞춤형 간편식’ 트렌드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봅니다.
소비자의 취향, 건강 상태, 선호 영양소에 따라 제품을 추천하거나 조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편의점 앱이나 키오스크를 통해 구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 편의점 간편식은 단순한 한 끼를 넘어서,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최적화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느냐가 경쟁의 핵심이 될 겁니다.

ko_KR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