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날이란?
“복날”은 매년 여름 극심한 무더위가 찾아오는 시기의 세 번의 특별한 날, 바로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을 의미합니다. 이 세 날을 한데 묶어 “삼복(三伏)”이라고 부르죠. 보통 7~8월 사이에 자리하며, 각 복날은 음력상 하지(夏至)와 입추(立秋) 등 절기와 깊은 관련을 갖고 해마다 날짜가 바뀝니다.
- 초복: 하지 뒤 세 번째 경일(庚日)
- 중복: 네 번째 경일
- 말복: 입추 후 첫 번째 경일
이 시기는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온 국민이 ‘삼복더위’라 부르며 무더위를 온몸으로 실감하는 시점입니다.

복날의 의미와 유래
“복”자는 개처럼 몸을 낮추고 엎드린 모양을 본뜬 한자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더위에 지쳐 엎드린다는 의미와, 여름의 뜨거운 기운에 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는 속뜻이 있습니다.
기록을 살펴보면, 중국 진나라 시절 신하들에게 고기를 나눠주던 풍습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궁중이나 민간에서 삼복을 맞아 다양한 보양식을 즐기고, 삼복제사를 지냈다는 흔적이 있습니다.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라, 사람도 곡식도 더위에 지쳐 기운을 잃기 쉬웠다. 그래서 이날 에는 원기 회복을 위해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자연스레 자리를 잡게 되었다.”
왜 삼계탕일까?
이열치열의 지혜
복날에는 뜨겁고 영양가 높은 삼계탕을 먹는 문화가 널리 자리잡고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해 기력이 약해지고, 땀을 많이 흘려 체력이 떨어지기 마련이죠. 우리 조상들은 ‘이열치열(以熱治熱)’, 즉 ‘열은 열로 다스린다’는 지혜를 따랐습니다. 몸의 바깥이 더울수록 오히려 따뜻한 음식을 먹어 위장과 몸의 내부를 보호하려 한 것이죠.
닭과 인삼의 황금 콤비
- 닭고기: 단백질이 풍부해 지친 체력과 면역력을 보충
- 인삼, 대추, 마늘: 각각 원기 회복, 항산화 작용, 항균 효과 등 건강 증진 효과
따라서 삼계탕을 먹는 것은 단순한 전통을 넘어, 무더위에 제일 잘 어울리는 영양 보충법이자, 일상 속 작은 축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날 대표 보양식 | 이유/효과 |
---|---|
삼계탕 | 단백질·영양보충, 면역력 증진, 더위 이열치열 |
팥죽 | 더위를 이기고 질병 예방 |
수박, 참외, 과일류 | 수분·비타민 공급, 갈증 해소 |
장어, 추어탕 | 원기·기력 보충 |
복날, 이렇게 즐기자!
- 가족·친구와 함께 삼계탕이나 다양한 보양식으로 건강 챙기기
- 발을 담그며 시원하게 보내기(탁족)
-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이색 음식 도전하기(치킨, 닭갈비 등 닭요리, 다양한 해산물 보양식)
- 삼복기간엔 충분한 수분 섭취도 잊지 말기
소소한 속설!
복날에 비가 오면 대추농사가 잘 안된다는 말도 있으니, 대추나무 꽃이 피는 마을에선 맑은 날씨를 기원하는 풍경도 볼 수 있답니다.
올여름,무더위를 타파하는 전통의 지혜와 따뜻한 음식 한 그릇으로 모두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유난히 더운 올 여름 삼계탕 한 그릇 어떠세요?